ROE(자기자본이익률) 기본개념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제용어 중에 ROE라는 용어를 알아보려 합니다.
ROE는 투자를 할 때도 많이 들어보겠지만 회사 생활을 하다 보면 직급이 올라갈 수록 더 많이 듣고 쓰게 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꼭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ROE는 자기자본이익률이라 불리며, 기업이 주주들의 자본을 얼마나 잘 활용하여 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쉽게 표현해 보면, 주주가 투자한 돈으로 기업이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했는지 보여주는 비율입니다.
우리가 회계사가 아닌 이상 ROE를 직접 구할 일은 별로 없겠지만 제대로된 개념 이해를 위해서 ROE를 구하는 공식도 함께 알아볼께요.

예를 들어서 A 회사의 순수익이 10억이고, 주주들이 투자한 자본 금액은 50억이라면,
이 회사의 ROE는 자본 금액 50억으로 20%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입니다.

왜 비율로 보는 것이 좋을까요? 바로 알아보기에 직관적이기 때문입니다.
10억의 수익을 냈다라고 하면 많이 번건지, 적게 번건지 느낌이 잘 오지 않지만 20%라는 숫자를 보게 되면 느낌이 팍~~ 오죠??
ROE는 왜 중요할까요??
ROE가 중요한 이유는 기업이 주주의 돈을 얼마나 잘 활용하여 수익을 내고 있는지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투자하고 싶은 회사는 내가 투자한 돈을 잘 이용해서 나에게 높은 수익률을 가져다 주는 회사잖아요. 비율이 높을수록 회사는 주주의 돈을 잘 활용해서 수익을 내고 기업의 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다는 뜻이겠죠.
ROE가 높은 회사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1. 경쟁력이 높은 회사일 가능성이 크다.
– 다른 회사보다 더 많은 이익을 내고 있다는 신호
2, 주주 가치가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 자본을 잘 활용해 이익을 낸다면, 결국 그 이익은 다시 주주에게 돌아올 가능성이 크겠죠.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커집니다.
3. 안정적인 수익성을 보여준다.
– 꾸준히 높은 ROE를 유지하는 회사는 그만큼 오랬동안 성공적인 경영을 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ROE를 실제 주식 투자에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요??
1. ROE가 꾸준히 높거나 매년 상승추세인 기업찾기
– ROE가 높다면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있는 회사이며, 매년 상승 추세를 보여준다면 회사가 꾸준히 성장하며 수익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회사는 성장 가능성이 높아 주가도 함께 오를 가능성이 커집니다.
2, 산업별 ROE 비교하기
– ROE는 같은 산업내에서 비교해야 의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업은 자본을 많이 필요로 하는 산업이여서 ROE가 낮을 수도 있는 반면 IT 산업처럼 자본보다는 기술력에 더 많이 의존하는 산업은 상대적으로 높은 ROE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ROE를 비교할때는 같은 산업내에서 비교해야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ROE에 대한 기본 개념 잘 이해 되셨나요???
모든 지표가 그러하듯 ROE 또한 매우매우 유용한 지표이지만 단독으로 판단지표로 사용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ROE가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너~~무 높은 경우 과도한 부채 사용으로 인한 것일 수 있기 때문에 부채비율도 함께 살펴보아야 하며, ROA, PER, PBR 등 다양한 재무지표들과 함께 분석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ROE 개념 정리가 많은 도움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모두가 경제 전문가가 되는 것을 꿈꾸며 화이팅!!!!